본문 바로가기
정보

PA 간호사 뜻

by 5단 도시락 2024. 4. 1.

 

PA 간호사는 의료 현장에서 의사의 감독 아래서 의사 업무를 보조 또는 대리하는 간호사들을 말한다. PA(Physician Assistant) 간호사는 의사가 부족한 대형 종합병원 등에서 의사 업무를 지원하며 진료보조간호사, 수술실 간호사, 전임 간호사, 전담 간호사 등으로 불린다. 미국에서 PA 간호사라는 명칭을 따 왔으나 자격기준, 교육과정, 법적근거, 일하는 형태는 미국과 다르다고 한다. 미국, 영국, 캐나다 등에서는 PA 간호사 면허제도를 시행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법적으로 인정되는 제도가 아니다. 미국에서는 PA 간호사가 되려면 교육 이수, 면허 취득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PA 간호사 뜻

 

 

 PA 간호사 현황

 

대한간호협회에 따르면 전국에 만 명이 넘는 PA 간호사가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병원간호사회에 의하면 2016년 3350여 명이던 PA 간호사의 수가 2019년 4810여 명으로 43% 증가했고, 이후 3년 만에 두 배이상 증가했다. 2025년에는 12만 7800명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PA 간호사 역할과 문제점

 

PA 간호사는 2000년 초반부터 개별 병원에서 관행처럼 활용되어 왔지만, PA 간호사의 진료 행위는 의료법에 근거가 없는 비공식적인 역할이다. 그렇다 보니 PA 간호사의 업무가 불법이 될 수도 있다. 의사 수 부족을 의료법에도 존재하지 않는 PA 간호사를 동원해 메우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PA 간호사가 의료 현장에서 하고 있는 의약품 처방, 수술장 보조, 의료 기록, 채혈, 동맥혈 채취, 초음파 및 심전도 검사, 기관 삽관, 봉합, 수술 수가 입력 등은 의료법에 의하면 의사만이 할 수 있는 의료행위이다. PA 간호사가 대리 수술을 하는 경우도 있다. PA 간호사는 법적 근거가 없으며 어디까지가 PA 간호사의 일인지 명확하지 않다. 감독하는 의사가 하라는데 불법이라서 못한다고 하기도 쉽지 않다. 법적 근거도 없는 업무를 하는 간호사들은 불안감과 부담감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현재 우리나라도 PA 간호사 역할 합법화를 추진 중이지만 쉽지 않은 문제이다. PA 간호사가 법으로 인정될 경우 인건비 상승 등으로 이어질 것을 염려하는 이들도 많다. 최근 의대 정원 문제로 의사들이 파업을 하면서 PA 간호사의 임무가 더욱 가중되고 있다. 높은 업무 강도와 법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 일에 대한 불안감과 부담감으로 인해 해외로 눈을 돌리는 PA 간호사들이 늘고 있다고 한다.

 

우수한 간호사들이 해외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도 엄연히 존재하는 PA 간호사를 법의 테두리 안으로 들어오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제도를 정비하는 일이 필요하지 않을까?

 

 

※ 면책조항 : 일반적인 정보 수집용입니다. 정보의 정확성, 유용성, 완전성 등에 대해 어떠한 보증도 하지 않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