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변비로 불편을 겪고 있다. 세계 인구의 14% 정도가 만성 변비를 경험한다고 알려져 있다. 변비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가장 큰 원인은 식단에서 수분과 식이섬유가 부족할 경우 변비로 이어질 수 있다. 식이섬유가 풍부한 과일을 많이 먹으면 변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번 시간에는 변비에 도움이 되는 과일들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변비의 원인
수분과 식이섬유가 부족한 식단 이외에도 좌식 생활, 과민성 대장 증후군 등의 위장 질환, 화장실 습관의 변화, 운동 부족, 변보기를 참는 것, 특정 약물과 보충제를 복용하는 것 등도 변비로 이어질 수 있다.
섬유질과 수분이 많은 과일을 먹으면 변의 부피를 늘리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변비에 효과가 있다. 신선한 과일, 말린 과일 모두 변비에 도움이 된다.
변비에 좋은 과일 6가지
1. 사과
사과의 과육과 껍질에는 수용성 섬유질의 하나인 펙틴이 풍부하다. 펙틴은 장 기능을 개선하고 대변의 부피를 크고 부드럽게 만들어 변의 통과 시간을 줄여주기 때문에 변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사과에 풍부한 비타민C는 변비 예방에 도움이 된다.
농식품올바로 국가식품표준성분표에 의하면 사과 생것(100g)에는 수분 84.8g과 식이섬유 2g(수용성 0.9g, 불용성 1.1g)과 이 함유되어 있다.
2. 감귤류 과일
자몽과 오렌지 등의 감귤류도 변비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사과와 마찬가지로 감귤류에는 펙틴 성분이 풍부하다. 펙틴 성분은 장 내 수분을 조절해 변비 해소와 설사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감귤류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나린제닌(naringenin)은 완하제(설사약) 효과가 있다고 한다.
농식품올바로 국가식품표준성분표에 의하면 자몽 생것(100g)에는 수분 90.8g과 식이섬유 1.2g(수용성 0.4g, 불용성 0.8g)이 함유되어 있다.
3. 배
배는 수분과 펙틴 성분이 풍부하고, 당 알코올인 소르비톨이 함유되어 있다. 소르비톨은 수분을 흡수하여 변을 무르게 해서 잘 배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배 과육에 풍부한 수용성 식이섬유는 물과 결합하여 대변의 부피를 크게 만든다.
농식품올바로 국가식품표준성분표에 의하면 배 생것(100g)에는 수분 87.1g과 식이섬유 1.8g(수용성 0.5g, 불용성 1.3g)이 들어 있다.
4. 무화과
무화과에도 식이섬유가 풍부해 건강한 배변에 도움을 준다. 또한 무화과에 소화에 좋은 피신이라는 단백질 분해효소 많이 함유되어 있다.
농식품올바로 국가식품표준성분표에 의하면 무화과 생것(100g)에는 수분 84.5g과 식이섬유 1.3g(수용성 0.3g, 불용성 0.9g)이 함유되어 있다.
5. 베리류 과일
블루베리, 라즈베리, 블랙베리, 딸기 등의 베리류에 풍부한 식이섬유는 대변의 양을 늘리고 부드럽게 해서 변비 완화 및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농식품올바로 국가식품표준성분표에 의하면 블루베리 생것(100g)에는 식이섬유 2.4g(수용성 0.8g, 불용성 1.6g), 수분 88.1g이 함유되어 있다.
6. 키위
키위에는 풍부한 소화를 돕는 액티니딘 성분이 풍부하다. 액티니딘은 육류, 콩 등의 단백질 식품을 분해한다. 고기를 재우는 양념에 키위를 넣는 이유도 액티니딘 성분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다른 과일과 마찬가지로 키위에도 식이섬유가 풍부해 변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농식품올바로 국가식품표준성분표에 의하면 그린 키위 생것(100g)에는 수분 81.6g과 식이섬유 2.6g(수용성 0.4g, 불용성 2.2g)이 함유되어 있다.
과일을 먹는 것 이외에 변비에 도움이 되는 방법으로는 과식을 자제,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스 덜 받기, 수시로 수분 섭취 하기 등이 있다.
※ 면책조항 : 일반적인 정보 수집용입니다. 정보의 정확성 등에 대해 어떠한 보증도 하지 않습니다. 의학적인 문제는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해야 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마종자유 효능 부작용 섭취방법 (0) | 2024.03.14 |
---|---|
프리지아 꽃말 후리지아 꽃말 (1) | 2024.03.14 |
튤립 꽃말 전설 (0) | 2024.03.11 |
고로쇠물 효능 부작용 유통기한 (0) | 2024.03.11 |
히아신스 꽃말 (0) | 2024.03.09 |
댓글